Widevine DRM? Widevine DRM이란 Widevine 사에서 개발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로 저작권이 있는 영상물의 무단 복사, 재배포 등을 방지하는 기술입니다. 구글은 지난 2010년 12월 4일 Widevine 사를 인수한 이후 안드로이드 OS와 크롬 등에 Widevine DRM을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Netflix, Disney+, HBO 등 다양한 OTT 스트리밍에서도 이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Widevine DRM 레벨은? Widevine DRM은 기기에 따라 L1, L2, L3로 레벨이 구분되어지는데 각 레벨에 따라 영상 재생의 제약이 존재합니다. 최상위 등급인 L1 등급 기기에서는 해상도의 제약 없이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나 L2 등급 기기에서는 최대 540p의 해상도, L..
어떤 제품을 구매해야 할까? 우선 픽셀 1에도 용량 차이, 크기 차이 등 스펙의 차이가 있어 어떠한 것을 구매해야 할지 고민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어떠한 것을 구매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픽셀 1은 5인치의 디스플레이를 가진 픽셀, 5.5인치의 디스플레이를 가진 픽셀 XL 두 제품으로 나뉘는데 디스플레이 크기, 배터리 용량을 제외하면 스펙의 차이가 없습니다. 또한 한 픽셀, 픽셀XL 모두 각각 내장 스토리지 32GB, 128GB 모델로 나뉘는데 백업 특성상 32GB 스토리지를 사용해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크게 고려치 않으셔도 되는 부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XL, 32GB, 128GB 어느 것을 선택하셔도 기본적인 백업 기능은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으니 개인 선..
사진을 저장할 공간이 필요했다. 최근 지나간 시간 속에서 남는 건 사진뿐이라는 생각이 들어 사진을 찍는 취미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폰카가 워낙 좋아졌기 때문에 사진 자체는 어떻게 찍어도 개인적으로 만족감이 들 정도로 나와줬으나 사진이 한 장 한 장 쌓여갈수록 고민이 하나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사진을 저장할 공간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사진 하나의 용량이 많게는 30mb가 넘기 때문에 온전히 휴대폰 내장 메모리에 저장해두기엔 무리가 있었고 PC에 저장해두자니 모바일에서 찍어둔 사진을 찾아볼 때 귀찮은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NAS에 저장해두는 방법을 택했으나 NAS의 특성상 하드디스크 고장, 랜섬웨어 감염 등의 우려가 있어 이중 백업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중 백..
이더리움 채굴 관련 게시글 모아보기 2021.04.17 - [IT이야기/IT정보] - 대채굴시대, 이더리움 채굴 도전하다 2021.04.19 - [IT이야기/IT정보] - 대채굴시대, 효율적인 채굴을 위한 오버클럭 설정 대채굴시대, 효율적인 채굴을 위한 오버클럭 설정 (with.애프터버너) 이더리움 채굴 채산성은 그래픽카드의 vram 대역폭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vram 용량이 크면 클수록, 클럭이 높으면 높을수록 이더리움의 채산성은 증가합니다. 물론 채산성을 늘리자고 기존 그래픽카드에 vram을 추가적으로 확장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채산성을 높이는 방법은 딱 하나, 바로 '메모리 오버클럭'을 통해 vram의 클럭을 올려주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SI Afterburner 프..
이더리움 채굴 관련 게시글 모아보기 2021.04.17 - [IT이야기/IT정보] - 대채굴시대, 이더리움 채굴 도전하다 2021.04.19 - [IT이야기/IT정보] - 대채굴시대, 효율적인 채굴을 위한 오버클럭 설정 대채굴시대, 이더리움 채굴 도전하다. 몇 년 전, 큰 맘먹고 그래픽카드를 구입하였으나 정작 게임을 잘하지 않게 되어 비싼 돈 주고 산 그래픽카드가 놀고 있는 것이 마음에 걸렸던 찰나 최근 비트코인을 필두로 한 가상화폐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전 세계적인 채굴 붐이 일고 있다는 소식을 접할 수 있었고 이에 관심이 생겨 찾아보니 생각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채굴이 가능하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놀고 있는 그래픽카드로 조금이지만 용돈벌이라도 할 겸 이더리움 채굴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준..
60프레임의 마술, 플루이드 모션 스마트폰 카메라의 발전으로 몇 년전부터 유튜브에서 60프레임으로 촬영된 영상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영상들은 기존 영상에 비해 조금 더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보이는 것이 특징으로 인해 색다른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영화, 드라마 등은 일반적으로 초당 24프레임 내지 30프레임으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영상을 볼 때 끊김이 느껴진다거나 투박하게 느껴지는 경우는 없지만 만약 이러한 영화, 드라마가 60프레임으로 제작된다면 어떻게 보일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AMD 플루이드 모션 기술은 이러한 호기심에 가장 적합한 대답 중 하나입니다. 플루이드 모션은 그래픽카드 연산을 통해 기존 초당 24프레임 혹은 30프레임..
구글 크롬 자동완성 버그 얼마 전 크롬 업데이트 이후 지속적으로 자동완성 기능이 오동작하는 버그를 겪어 한 동안 고생하였습니다. 매번 크롬을 이용할 때마다 텍스트를 입력하면 노란색 강조표시가 생기며 글자가 중복되어 입력되고 이를 지우고 입력하더라도 지운 글자까지 다시 재입력되는 증상으로 간단한 웹 서핑, 블로그 포스팅 작성 등 수많은 부분에서 불편함이 야기되었습니다. 저만 이런 증상을 겪나해서 찾아보니 몇 달 전부터 많은 분들이 동일한 증상을 겪고 계셨고 스트레스로 인해 아예 브라우저를 변경하시는 분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렇듯 많은 분들이 동일한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만큼 해결 방법도 꽤나 여러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개인 환경에 따라 되는 방법도, 안 되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아래의 방법을 한..
갑자기 특정 앱들이 정지되고 먹통이 되는 현상 3월 23일 새벽 이후 삼성 갤럭시, LG, 샤오미 등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한 스마트폰에서 다발적으로 전화, 문자, 이메일 등 기본 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카카오톡, 네이버 등 일부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갑작스레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분들이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으며 서비스센터가 북새통을 이루는 등 해프닝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원인 우선 이러한 증상은 스마트폰 고장이 아닙니다. 'Android System WebView'라는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3월 23일 새벽 무렵 최신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 된 이후 발생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서비스센터를 따로 방문하거나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입할 필요없이..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Office 365 전 세계에서 가장 대중적인 오피스 프로그램인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는 성능, 활용성 면에서는 말할 것도 없지만 패키지 형태, 혹은 월 구독 형태로 판매되는 가격이 다소 부담스럽다고 느낄 수 있는 수준입니다. 특히 재정적 여유가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더욱 그렇습니다. 그런데 자신이 학생이라면 이러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를 정식적인 루트를 통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바로 Office 365 Education 버전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오늘 날 대부분의 교육기관은 마이크로소프트와 Office 365 Student Advantage Program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학생들에게 Office 365 Education 버전을 무료로 제공하고 ..
DNS는 무엇인가요? 인터넷 상에서 접속가능한 모든 웹 페이지는 고유의 IP주소를 갖고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경우 223.130.195.200 이라는 IP 주소를 가지고 있고 브라우저 주소 창에 이를 입력하면 흔히 아는 네이버의 메인화면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숫자로만 구성된 IP주소를 일일이 기억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대부분은 www.naver.com이라는 도메인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하게 되는데 DNS(Domain Name System)는 이러한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변환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DNS 변경이 필요한 경우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별도의 DNS를 설정할 필요없이 가입한 통신사(SKT, KT, LG 등) 고유의 D..
2021년 싸이월드와 버디버디가 돌아온다. 3월 2일, 언론보도를 통해 오래전 사라졌던 추억의 메신저 '버디버디'가 돌아온다는 소식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에 앞서 지난 2월에는 미니홈피로 유명했던 '싸이월드'가 부활한다는 소식이 먼저 들려오기도 하였습니다. 과거 한 시대를 풍미했으나 지금은 추억 속에 잠들어 있는 이러한 서비스들이 부활한다는 소식에 반가움을 표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이제 와서 무슨 의미가 있냐며 회의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 역시 적지 않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 포스팅에서는 싸이월드와 버디버디의 전성기부터 추락까지를 간략하게 돌아보고 싸이월드, 버디버디의 흥망성쇠를 함께 해왔던 입장에서 부활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때는 잘나갔지만... 과거..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순위 서비스,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지난 2021년 2월 4일, 네이버에는 공지사항 한 개가 올라왔습니다. 이 공지사항의 내용은 놀랍게도 일명 '실검'이라고 불리는 '실시간 검색어 순위 서비스'의 폐지를 알리는 것으로 네이버는 폐지 이유로 다변화하는 검색 트렌드에 맞추기 위함이라고 간략하게 이유를 밝혔으며 2월 25일부로 서비스를 종료할 것임을 고지하였습니다. 이후 20일 여가 지난 2월 25일, 사전에 공지되었던 대로 실시간 검색어 순위 서비스는 폐지되어 흔적을 찾아 볼 수 없게 되었고 그 빈 자리는 날씨 정보와 코로나 관련 안내 문구가 채우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실시간 검색어 순위 서비스 폐지 결정은 많은 사람들에게 꽤나 큰 충격으로 다가오게 되었습니다. 그도 그럴 ..